Issues

Search

Home > Issues > Search

자기장 홀센서 맥진기를 이용한 온열치료 자극 요법의 효과에 따른 수축기 혈압 및 수축기 시간 특성 연구

한국자기학회지, Volume 29, Number 1, 28 Feb 2019, Pages 17-23
이규선 (상지대학교 한방의료공학과), 김주영 (상지대학교 한방의료공학과), 이상석 * (상지대학교 한방의료공학과)
Abstract
온열 및 마사지 자극이 가능한 개인용 종합자극기를 이용하여 치료 전과 후에 양한방융합 환자감시장치와 영구자석과 홀소자가 구비된 집게형 맥진기로 수축기 혈압과 수축기 시간을 측정하여 그 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20대 남녀 두 명의 실험 대상자들의 측정 데이터를 치료 전과 후의 차이의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온열치료 후 수축기 혈압은 유의성 확률 p = 0.01에서 4.27 mmHg~5.36 mmHg 만큼 낮아졌고, 수축기 시간은 유의성 확률 p = 0.05에서 1.27 ms~2.03 ms 만큼 늘어났다. 반면에 체온과 산소포화도는 변화가 미미했으며 이완기 혈압 심박수와 맥박수는 조금 낮아졌다. 온열치료기와 한양방융합 환자감시장치, 집게형 맥진기인 치료 및 진단기기를 사용하여 얻은 다양한 생체정보의 특성결과가 고령화 시대에서의 의료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systolic blood pressure and systolic time were measured and analyzed by using the oriental-western fusion patient monitor and the clip-typr pulsimeter equipped with permanent magnet and Hall device. The systolic blood pressure and systolic time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of a personal combination stimulator capable of thermal therapy and massage.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reatment for the 20-year-old male and female subjects were measured and analyzed. As a result, the systolic blood pressure decreased by 4.27 mmHg~5.36 mmHg with significance probability p = 0.01, and the systolic time increased by 1.27 ms~2.03 ms with significance probability p = 0.05 after thermal and massage treatment. On the other hand, the changes in body temperature and oxygen saturation were minimal,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pulse rate were slightly lower.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of various biometric information obtained by using the personal combination stimulator as therapy medical apparatus, the oriental-western fusion patient monitor and the clip-type pulsimeter as diagnosis medical apparatus, will provide the important medical information in the age of aging.
 
Keywords: 영구자석; 홀 소자; 온열 자극치료; 맥진파형; 의료생체신호; permanent magnet; Hall device; thermal stimulation therapy; pulse wave; biomedical signal
DOI: https://doi.org/10.4283/JKMS.2019.29.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