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ues

Search

Home > Issues > Retrieve

핵 의학 영상 획득에 대한 이해와 발전: 과거, 현재, 미래에 대한 고찰

한국자기학회지, Volume 31, Number 1, 28 Feb 2021, Pages 1-9
한용수 (한림성심대학교 방사선과), 박상원 (강원대학교병원 암 노인 센터), 서선열 (한림성심대학교 방사선과), 박철수 * (한림성심대학교 방사선과), 한만석 * (강원대학교 방사선학과)
Abstract
방사성동위원소와 비 밀봉 표지화합물을 이용하여 인체 내 관심 영역의 분자 학적 변화를 3차원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양
전자단층촬영 영상의 특성을 이용하여 뇌의 작용 기전을 분자 수준에서 분석할 수 있다. 유사하게 자기공명영상 영상은 신경 전
달 물질과 수용체의 활동을 반영하는 신경세포의 활성화 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고해상도의 해부학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자기공명영상 영상을 통해 인체 내 관심 부위에서의 신경 전달 물질과 수용체에 의해 발생되는 산소 소모량을 측정하고 해당 영
역의 활성화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양전자단층촬영 영상과 자기공명영상 영상의 각각의 특성을 동시에 반영할 수
있도록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자기 공명 영상의 발전이 이뤄져왔다.

Using radioactive isotopes and non-sealed labeling compounds, the brain’s mechanism of action could be analyzed from a molecular
perspective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a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image, which could identify molecular changes in the
region of interest in the human body in three dimensions. Similarly,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images provide highresolution
anatomical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activity of nerve cells that reflect the activity of brain neurotransmitters and
receptors. After measuring the brain neurotransmitter through MRI images and the amount of Blood Oxygenation Level Dependent
(BOLD) produced by receptors, certain areas of the brain could identify activation changes. The development of positron emission
tomography-magnetic resonance imaging (PET-MRI) has been made to reflect the respective characteristics of PET and MRI images
at the same time.
Keywords: 핵의학;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 양전자 방출 전산화 단층 활영;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자기 공명 영상 ;감마카메라 ;nuclear medicine ; PET ; PET-CT ; PET-MRI ; gamma camera ; SPECT
DOI: https://doi.org/10.4283/JKMS.2021.31.1.001